본문 바로가기

수능독서(비문학) 교재 맛있게 배껴쓰기

수능단기특강 국어영역 독서 고단백 (천재교육)

2025년 3월 14일 금요일 #5  

 

설명과 분석 05

 

(기술공학) 손안의 세계, 디지털 지도

 

디지털 지도란 위성 영상이나 항공 사진 등을 바탕으로 하여 스마트폰, 컴퓨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지리 정보가 디지털 정보로 표현된 지도를 말한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최근 급속히 보급된 디지털 지도는 지도를 보고 활용하는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기존의 인쇄물 형태의 지도는 '펼쳐서' 정보를 확인했다면 디지털 지도는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 정보를 '검색하는 ' 방식으로 활용된다.

 

디지털 지도의 사용자는 지도를 활용하는 주체로서 취사선택에 따라 지도를 '개인화'한다. 축척과 범위뿐만 아니라 좋아하는 장소와 경로를 자유롭게 검색하고 저장하며 지도를 능동적으로 활용한다.불특정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흘러가는 정보가 아닌 사용자에 맞춰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다. 또한 종이 지도와 달리 디지털 지도의 공간은 지도상에 지리 정보가 균등하게 펼쳐져 있는 '균질화'된 공간이다. 따라서 화면을 움직이기만 하면 국가와 지역의 경계를 뛰어넘어 세계를 연속적으로 이어진 장면으로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지털 지도에는 여러 층의 정보가 쌓여 '다층화'되어 있어 사용자는 터치 한 번으로 교통 상황, 철도 노선도, 날씨 등의 정보를 쉽게 지도위에 겹쳐서 표시할 수 있다.이를 통해 사용자는 세계를 면이 아닌 다층화된 정보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지털 지도는 스마트폰이라는 모바일 미디어와 연결되면서 지도를 '신체화'시켰다. 더 이상 사람들은 특정 장소에 대한 정보를 담은 지도를 들고 다니지 않으며, 손안에서 자동으로 위치 측정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의 위치와 관련된 실시간 지도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파악할 수 있다.

 

디지털 지도를 통해 자신의 위치와 관련된 실시간 정보를 바로 제공받는 일이 어떻게 가능할까? 스마트폰의 위치 측정 기술에는 기기에 내장된 위성항법장치와 관성측정장치가 사용된다. 위성항법장치는 위성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이용하여 위도와 경도로 표시되는 절대 위치를 측정하고, 관성측정장치는 내장된 센서로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여 위치 변화를 계산하고 초기 위치에 대한 상대 위치를 구한다.

 

그런데 위성항법장치는 전파 지연 등으로 초기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실내에서는 신호를 받기 어렵다. 관성측정장치는 시간이 지날수록 측정값의 오차가 누적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둘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오차를 줄이는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건물 안에는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을 설치하여 실내에 위치한 단말기에 비콘의 위치 정보가 담긴 신호를 보낸다. 단말기에서는 비콘의 신호 세기와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바탕으로 비콘과의 거리를 환산하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얻는다.